강아지 DBTI 강아지 MBTI 성격 테스트
사람의 성격을 16가지로 나누어 놓은 성격 유형 테스트 'MBTI'를 해보시고 자기의 성격 유형이 무엇인지 아시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 강아지의 16가지 성향을 알 수 있는 'DBTI'가 있다고 해서 소개해 드리려고 합니다.
반려견 성향분석 'DBTI'는 동물농장 아저씨, 갓찬종으로 불리는 이삭애견훈련소 이찬종 소장님의 노하우로 반려견의 성향을 확인하는 로직과 문항을 개발하였고,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포동 LABS의 빅데이터 기술을 적용하였다고 합니다.
또한 성향 분석 결과에 만족도 조사에 사용자의 의견이 더해지면 빅데이터 기술로 정확도는 계속 올라갈 거라고 합니다.
▶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 4가지 성향
1. 야생성(Proto-dog)
- 반려동물로서의 교감하는 'C' ↔ 개의 본능이 더 큰 'W'
야생성(Proto-dog)은 강아지가 사람과 살아가기 위한 반려동물로서의 교감 성향(Community)과 강아지가 가지고 있는 본능적인 성향(Wild) 중 어느 쪽의 성향이 더 강한지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합니다.
2. 의존성(Dependency)
- 사람을 믿거나 의존하는 'T' ↔ 필요할 때만 사람과 교류하는 'N'
의존성(Dependency)은 강아지가 사람을 믿거나 의존하는 등 신뢰(Trust) 하는지, 자기가 필요할 때에만 소통하며 소극적인 필요(Necessary)의 대상으로 보닌지를 판단한다고 하네요.
3. 관계성(Relationship)
- 같은 강아지에게 적극적이며 외향적인 'E' ↔ 그저 혼자가 좋고 내향적인 'I'
관계성(Relationship)은 사람의 MBTI의 'E'와 'I'와 비슷합니다. 다른 강아지에게 잘 다가가는 외향적(Extroversion) 성향인지, 또는 다른 강아지들을 피하고 싶어 하는 내향적(Introversion) 성향인지를 판단한다고 합니다.
4. 활동성(Activity)
- 새로운 것이 궁금하고 모험하며 적응하려는 'A' ↔ 환경에 적응하지 않고 안주하려는 'L'
활동성(Activity)은 개가 새로운 환경에 얼마나 잘 적응하는지 판단하는 척도라고 합니다. 적극적으로 모험(Adventure)하는지, 아니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려 하지 않고 현실에 안주(Lazy)하는 지를 판단하는 기준이라고 합니다.
▶ DBTI 성향 분류표
DBTI를 통해 나온 성향 분류표는 위의 16가지이며 왼쪽 시계 방향으로 설명을 드리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 WTIL : 엄마 껌딱지 겁쟁이형
- WTIA : 조심스러운 관찰형
- WNIA : 선 긋는 외톨이 야생견형
- WNIL : 패닉에 빠진 극 소심형
- WTEL : 초면엔 신중, 구면엔 친구형
- WTEA : 허세 부리는 호기심쟁이형
- WNEA : 동네 대장 일진형
- WNEL : 까칠한 지킬 앤 하이드형
- CTEL : 신이 내린 반려특화형
- CTEA : 까칠한 만능엔터네이너형
- CNEA : 똥꼬 발랄 핵인싸형
- CNEL : 곱게 자란 막내둥이형
- CTIA : 놀 줄 아는 모범생형
- CTIL : 모범견계의 엄찬아형
- CNIA : 주위에 관심 없는 나 혼자 산다형
- CNIL : 치고 빠지고 밀당천재형
▶ 포동 반려견 유형분석 DBTI
반려견 유형 분석을 하시려면 위의 링크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포동 반려견 성향분석(DBTI)은 본능, 환경 적응력, 강아지와 사람 간의 관계를 통한 사회화 정도를 기반으로 반려견의 성향을 분석하며, 그에 따른 반려견의 전반적인 성격 유형과 그에 맞는 유의 사항 및 양육 방법을 제시해 준다고 합니다.
또한 반려견의 현재 행복도, 보호자 점수, 활동 에너지, 교감 능력, 산책 지수 등을 알려준다고 하네요.
이 검사로 반려견의 정확한 성향 분석을 할 수는 없겠지만 어느 정도 재미와 함께 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댓글